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그 중에서도 주식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무엇보다 먼저 알아야 할 용어가 주주, 주주명부 그리고 다트일 것입니다.
지금부터 주주의 뜻은 무엇이고 주주명부, 대주주, 전자공시시스템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 주주란?
- 주식시장의 NO.1
- 주주명부, 최대주주 그리고 대주주
- shareholder와 stockholder
- 주식에 관심이 있다면? 이 주식을 알자
- 다트 하세요? 다트 아세요?
- 주주와 관련된 그 밖의 용어
- 주식투자를 하기에 앞서
주주란?
이 단어의 앞자인 株는 그루터기, 근본이나 뿌리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 글자인 主는 임금, 주인, 소유주의 뜻을 가지고 있죠.
현대시대에는 크게 정부(국가), 기업, 가계(개인)의 세 분류로 나눠볼 수 있는데, 여기서 가운데 있는 기업들 중 상당수는 개인이 운영하는 기업(회사)이며, 주식회사의 형태로 운영되는 기업도 있습니다.
후자인 주식회사에는 주주가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주인을 의미합니다.
혹시 여러분도 어떤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계신가요?
그러면 여러분도 주식회사의 주인인 셈이군요.
■주식시장의 NO.1
국내 주식시장에 대해 궁금해 찾다보면 가장 쉽게 접하는 회사가 보입니다.
어딜가나 보이는 이 회사!
맞습니다.
삼성전자 입니다.
이 주식이 거의 모든 곳에 등장하는 이유는 거의 모든 면에서 돋보적인 수치를 자랑하기 때문인데요.
시가총액 1위, 거래량 1위 등 300조가 넘는 코스피(KOSPI 시장) 중에서 넘버 1(NO.1)입니다.
■주주명부, 최대주주 그리고 대주주
상법에 보면 주식회사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주주를 모집한다는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주주 또는 주주들로 구성된 회사가 주식회사이기 때문입니다.
한 기업의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한 사람(이나 기업)을 최대주주라고 하고 많은 주식을 보유한 사람을 대주주라고 부릅니다.
주식을 많이 보유한 사람(또는 기업)을 다른 표현으로 주식 지분이 많은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죠.
주주명부라고 들어보셨나요?
한 기업의 주주들의 이름이 적힌 장부를 말하죠.
명부라는 단어가 이름(명), 장부(부)를 의미하니까요.
선거인 명부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죠?
(선거인 명부 : 선거할 수 있는 사람(인)이 적힌 명부)
명부 예시 >
회원명부, 학생명부, 승객명부, 당원명부, 출입명부
■shareholder와 stockholder
shareholder
영어로 주주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stockholder
이 단어도 주주를 뜻하는데요, 이 두 단어에서 공통된 단어 holder는 소유한 자, 보유한 자를 뜻하죠.
즉, 앞의 단어는 지분을 소유한 자, 뒤의 단어는 stock 즉 주식을 소유한 자라고 알면 됩니다.
■주식에 관심이 있다면? 이 주식을 알자
앞으로 주식을 할 분들은 자주 관심을 가지게 될 쉽고도 이름만 들어도 이해하기 쉬울 2개의 단어가 있습니다.
value stock
growth stock
위의 단어는 가치주이고 아래의 단어는 성장주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그리고 특정 주식을 갖고 있는 주주들이 관심을 갖을 만한 기업의 주식이 가치주(value stock)와 성장주(growth stock)일 것입니다.
가치주식(가치주), 성장주식(성장주)
■다트 하세요? 다트 아세요?
주식을 해 본 분들이나 지금도 주식에 관심있으신 분들 그리고 경제와 금융에 대해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사이트를 둘러보겠습니다.
다트라고 들어보셨나요?
여러분이 머릿속에 떠올리고 있는 그 다트.
아닙니다.
동그란 다트판(다트보드)에 다트촉(화살)을 던져 과녁에 맞추는 게임(놀이)이 다트죠.
그런데 지금 알려드릴 다트는 금융감독원의 주식과 관련된 공시시스템 사이트를 다트라고 합니다.
이것을 다트라 부르는 것은 전자공시시스템을 줄여 DART라고 부르기 때문입니다.
DART의 D는 Data의 D를 뜻합니다.
■주주와 관련된 그 밖의 용어
주주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면 아래와 같은 용어들을 필히 접하게 되실텐데요.
간단하게 훑고 지나가 보세요.
주주총회, 소액주주, M&A, 의결권, 실질주주
■주식투자를 하기에 앞서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면 실제 투자를 하기에 앞서 연습게임과 같은 모의투자를 해 볼 것을 권해 드립니다.
모의투자 대회에 출전해도 좋고 모의투자 관련 서적을 참고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 실전과 비슷한 환경을 스스로 만들고 경험해 보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주식투자 준비과정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네이버에 로그인하신 후 여러 카테고리 중 증권으로 들어가 MY에서 직접 모의투자를 해 보세요.실전에 앞서 무일푼으로 직접 모의투자를 경험해보면 실전에서의 실수를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자 터미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란(이해하기 쉽게 알아보기) (0) | 2025.02.20 |
---|---|
환율, 환전 쉽게 이해하기(고환율, 환율계산 방법) (0) | 2025.02.10 |
움직여야 보이는 경제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