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터미널

양도소득세란(이해하기 쉽게 알아보기)

by 경제풀 2025. 2. 20.

양도소득세란 무엇일까요?

양도세, 양도소득세 한 번에 이해되도록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 양도세
<양도소득세, 양도세>

 

2~3분 후면 이해될 단어(용어)

 

☞ 양도세, 양도소득세, 양도, 양수, 주식 양도세, 부동산 양도세,

     세율, 기본세율, 과표(과세표준), 양도세율, 누진공제,

     부과, 과세대상, 소득, income, income tax

 

 

 

양도, 양수 기초 쌓기

 

양도 讓渡

 

양보한다는 의미로 보면 됩니다.

 

양보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전철이나 버스에서 누군가에게 자리를 대신 내주는 것을 말하죠.

 

건네다는 의미로 보면 됩니다.

 

무언가를 건네는 것은 내가 상대방에게 건네는 것이니 이 도의 의미도 상대에게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도의 사전적 의미는 권리, 재산, 물건 등을 다른 누군가에게 준다는 것이고 양도 양수라고 쓰이기도 하며 세금 관련해서는 양도소득세로 많은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단어입니다.

 

참고로 양수에서 수는 받는다는 뜻이므로 상대방에게 내가 받는 것을 뜻합니다.

 

 

 

양도세, 부가세 그리고 종소세

양도세, 부가세 그리고 종소세

 

보통 어떤 단어를 말할 때 우리는 그 단어를 줄여서 쓰기도 합니다.

단어의 글자 수가 길어서 줄여 쓰기도 하고 편해서 줄여 쓰기도 하는 것이죠.

 

양도소득세도 사람들이 부를 때는 양도소득세라고 말하기보다 줄여서 양도세라고 말합니다.

부가가치세부가세라고 하는 것과 비슷한 거죠.

5월에 신고, 납부하는 종합소득세종소세라고 부릅니다.

 

 

 

양도세 종류와 양도세 관련 용어들

 

양도세가 부과되는 일반적인 경우는 주식 양도세, 아파트 양도세(부동산 양도세)가 있어요.

 

양도소득세는 과세되는(세금이 부과되는) 종류(대상)에 따라 세율이 각기 다릅니다.

여기서 세율이란 세금()을 계산하는 비율을 말하죠.

 

예를 들어, A 나라의 양도세율은 물건이나 권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세율이 적용된다고 가정합시다.

모든 것에 대한 양도세율은 가격의 5%라고 한다면, 부동산 가격이 1억 인 부동산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5백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위에 아주 간단한 예를 들어 이야기했지만 실제 우리나라의 부동산에 대해선 보유기간, 보유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세금이 책정되며  단순히 기본세율에 의해 계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부동산 양도세를 알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은 과표(과세표준), 기본세율, 보유기간, 누진세율 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과표, 누진공제, 세율은 소득세법에 따라 결정되기에 소득세법 개정 여부를 아는 것은 필수입니다.

 

※ 부과 : 세금 등을 내도록 하는 것(세금을 부담한다고 표현함)

 

※ 과세대상 : 과세되는 종류를 과세 대상이라고 하며, 양도세의 경우 부동산, 주식, 회원권 등을 과세 대상이라고 함

 

 

 

소득이란

 

양도 양수에서 양도세, 양도소득세로 바로 넘어가다 보니 소득이란 단어를 놓치고 지나갔습니다. 

 

소득?

 

다들 아시죠?

하지만 아직 배우는 단계에 있는 어린 학생들 중에는 소득이란 의미는 대략 알아도 정확한 개념은 머릿속에 확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소득은 한자로 所得이죠.

 

앞의 바 소 라는 뜻이 확 와닿지 않죠.

소라는 한자의 뜻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중 이라는 뜻이 보입니다.

 

所得은 어떤 (소)얻는(득) 것으로 기억해 두면 됩니다.

뒤의 한자가 얻을 득이니 『것(소) 얻는(득)』을  앞뒤로 바꾸어 『얻는 것』 으로 기억해 두세요.

 

영어로는 정말 확 와닿을거에요.

 

income

 

안으로 오다

주어가 나라고 생각하고 내 안으로 오다.

 

소득

쉽지 않나요!

 

income은 수입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income에 tax를 붙이면?

소득세(income tax)입니다.

 

 

 

양도, 양도소득세를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양도세, 양도소득세, 양도, 양수, 양도세율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았습니다.

 

사회생활을 하거나 세금 공부를 하다 보면 용어에 대한 개념,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두루뭉술 알고 시작하면 어려움이 많습니다.

 

기본을 알면 확장성은 상당히 커지지만 급히 진도를 나가거나 빨리 무언가를 하려다 보니(스텝 바이 스텝을 하지 않고) 대충 시작해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원을 찾아보거나 하지 않더라도 가능한 기초를 튼튼히 다지고 시작하게 되면 양도소득세와 같은 세금도 쉽게 배우게 됩니다.